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조회 방법 요약정리

2023. 10. 23.

국민연금은 국가적인 소득 보전 제도로 1988년에 시작되었으며, 만 60세 이상부터 수령 가능하며 직장인과 프리랜서도 가입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 수령액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1. 국민연금 NPS 전자민원서비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개인서비스 메뉴에서 가입내역조회를 클릭하면 납부한 연금보험료와 납부개월수, 납입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1.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화면에서 예상연금 자세히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예상 노령연금액 (세전)에서 예상연금 수령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 관리공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상 수령액을 모의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2022년 7월 현재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표가 제공되며, 가입기간과 소득월액평균액에 따라 예상 수령액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 수령액을 확인하여 노후자금을 계획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순번

가입기간중 기준 소득월액평균액(B값)

연금보험료 9%

가입기간

10년

15년

20년

25년

1

330,000

29,700

155,510

2

340,000

30,600

155,530

3

350,000

31,500

155,560

4

360,000

32,400

156,070

5

370,000

33,300

156,590

6

380,000

34,200

157,100

7

390,000

35,100

157,610

8

400,000

36,000

157,700

9

410,000

36,900

157,780

10

420,000

37,800

157,860

 

  • 가입기간은 10년부터 47년까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 기준 소득월액평균액(B값)에 따라 연금보험료가 결정되며, 연금보험료는 기준 소득월액평균액의 9%로 계산됩니다.
  • 가입기간과 연금보험료를 고려하여 예상연금 수령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민연금의 제도와 규정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민연금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국민연금 관리공단 공식 홈페이지나 관련 기관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NPS 전자민원서비스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NPS 내연금 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홈페이지

국민연금 관리공단 공식 홈페이지

국민연금 예상연금 모의계산 하러가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5.6% 인상

육아휴직 때도 국민연금·건강보험료 내야 하나

"은퇴 후 재취업하면 국민연금 깎인다?"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4.1% 인상

국민연금 더 받고 싶다면…임의가입·임의계속·연기·반납 활용

국민연금 사이버 연수원

국민연금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국민연금 보험 EDI

국민연금 인터넷납부서비스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설명 정책브리핑

“국민연금에도 세금 붙습니다”…노후자금도 절세법 중요 국민연금 종합소득세

국민연금 가입 납부내역 조회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