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RP 연금저축 가입대상, 수수료 안내

2023. 10. 9.

노후를 준비하고 안정적인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IRP(개인형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은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RP와 연금저축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고, 어떤 경우에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증권 IRP 바로가기

 

연금저축과 IRP 차이점

가입 대상

  • 연금저축: 누구나 가입 가능, 소득 제한 없음.
  • IRP: 소득이 있는 사람만 가입 가능, 퇴직연금 성격이 강함.

 

투자 상품 및 비중

  • 연금저축: 투자 상품 비중에 제한 없음.
  • IRP: 위험 자산 70%, 안전 자산 30% 투자 규정.

 

수수료

  • 연금저축: 수수료 없음.
  • IRP: 소수의 수수료 또는 할인 혜택 존재.

 

연금저축과 IRP 공통점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세율

  • 연금저축과 IRP 모두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개인연금 상품으로, 세액공제 한도는 총 700만 원.
  • 5,500만원 이하 총급여에 대해 16.5% 공제율, 5,500~1.2억 이하 총급여에 대해 13.2% 공제율 적용.

 

연금소득세

  • 세액공제 혜택을 받은 연금저축과 IRP는 연금으로 되찾을 때 연금소득세를 내야 함.

 

  • 55세 이후부터 10년 이상 불입하고 연금 수령해야 함. 55세 이전 출금 시 16.5%의 기타 소득세를 내야 함.

 

IRP vs. 연금저축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연말정산 세제 혜택을 필요하지 않는 경우 주식형 상품을 선호하는 분에게는 연금저축을 권장하며,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하고 싶은 분에게는 IRP를 권장합니다. 은행, 보험사, 증권사의 혜택을 비교하여 개인연금을 준비하기를 권장합니다.

총급여

연금저축

IRP

5,500만원 이하

400만원

700만원

5,500~1.2억 이하

400만원

13.2%

1.2억 초과

300만원

 

IRP와 연금저축 계좌 운용 전략

  1. IRP, 연금저축 계좌 개요:
    • IRP와 연금저축 계좌는 노후에 추가적인 연금 확보를 위한 개인 연금 상품으로 국가에서 권장됨.
    • IRP는 근로소득이 필요하고, 위험자산 투자 한도가 있으며 퇴직금 수령 시에도 활용 가능.
    • 연금저축계좌는 국적 보유자 누구나 가능하며, 주식형에 100% 투자 가능하고 일부 인출 가능.

     

  2. IRP와 연금저축계좌의 차이점:
    • IRP는 주식형 투자에 70% 한도, 안전 자산 강조, 원금 보존.
    • 연금저축계좌는 주식 투자에 100% 가능, 더 도전적인 투자 성격.
    • IRP는 일부 인출 거의 불가능, 연금저축계좌는 일부 인출 가능.
    • 중도 해지 시 IRP는 전액, 연금저축계좌는 일부 해지 가능.

     

  3. 운영 전략:
    • 세액공제 한도인 900만 원을 적절히 나눠 운용하여 모든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
    • 중도 인출을 대비해 IRP 2개와 연금저축계좌 1개와 같이 다양한 계좌를 운용해야 함.
    • 중도 인출 시에도 세액공제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 운용이 필요.

     

  4. 세액공제 혜택:
    • 2023년 세제 혜택은 총급여액에 따른 세액 공제율로 나뉘며 5,500만 원 이하는 16.5%, 5,500만 원 이상은 13.2%.
    • 900만 원 납입 시, 각 상품에서 받는 세액 공제는 매우 큰 금액이며 중요.

     

  5. 부분 인출 대비: 중도 인출 시에도 대비해야 함. 일부 해지는 세금 부과됨.
  6. 전략 요약:
  • IRP와 연금저축계좌를 함께 운용하여 다양한 세액공제 혜택을 활용.
  • 중도 인출 시에도 세액공제를 고려한 전략적 운용 필요.

 

IRP와 연금저축계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고, 중도 인출 시에도 세금 부과를 고려한 전략적인 운용이 필요합니다.

삼성증권 IRP 바로가기

댓글